Computer Science/OS
-
데이터 저장 용량의 단위Computer Science/OS 2024. 8. 4. 15:01
데이터 저장 용량의 단위는 바이트를 기본 단위로 하여 위계적으로 증가합니다. 여기서 각 단위가 하나씩 증가할 때마다 일반적으로 1,024배씩 증가합니다.데이터 저장 용량 단위바이트(Byte, B)가장 작은 기본 단위로, 1바이트는 보통 8비트로 구성됩니다.킬로바이트(Kilobyte, KB)1 KB = 1,024 B메가바이트(Megabyte, MB)1 MB = 1,024 KB = 1,048,576 B기가바이트(Gigabyte, GB)1 GB = 1,024 MB = 1,073,741,824 B테라바이트(Terabyte, TB)1 TB = 1,024 GB = 1,099,511,627,776 B페타바이트(Petabyte, PB)1 PB = 1,024 TB = 1,048,576 GB = 1,125,899,906,..
-
직렬화(Serialization)와 역직렬화(Deserialization)Computer Science/OS 2024. 4. 11. 10:01
직렬화와 역직렬화는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자주 마주치는 개념으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전송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1. 직렬화란? 직렬화(Serialization)는 데이터 구조나 객체 상태를 저장하거나 전송할 수 있는 포맷(예: JSON, XML)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렇게 하면 메모리에 있는 객체를 파일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후에도 재구성할 수 있습니다. 2. 역직렬화란? 역직렬화(Deserialization)는 직렬화의 반대 과정으로, 데이터를 원래의 객체나 데이터 구조로 복구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역직렬화를 통해 저장소나 네트워크를 통해 받은 데이터를 응용 프로그램에서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실제 객체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3. 어디에 주로..
-
기아상태(Starvation)란?Computer Science/OS 2024. 4. 6. 17:22
기아상태(Starvation)는 멀티스레딩 환경에서 특정 스레드가 CPU 시간이나 필요한 자원을 충분히 할당받지 못해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작업에 자원이 계속 할당되어 우선순위가 낮은 작업이 무한히 대기 상태에 머무르게 될 때 발생합니다. 1. 기아상태란? 기아상태는 시스템 내의 자원 할당 정책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스레드나 프로세스가 자원을 오랜 시간 동안 독점하고 있을 때, 다른 스레드는 그 자원을 사용할 기회를 얻지 못할 수 있습니다. 특히, 멀티스레딩 환경에서 스레드에 우선순위를 할당하여 작업을 스케줄링할 때 기아상태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2. 기아상태 코드 예시 Java 예시: Java에서는 Thread 클래스..
-
메모리 구조(Memory Structure)란?Computer Science/OS 2024. 4. 5. 11:21
메모리 구조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면서 사용하는 메모리의 구성을 설명합니다. 이 구조는 일반적으로 코드 영역, 데이터 영역, 힙 영역, 스택 영역으로 나누어집니다. 각 영역은 특정 유형의 정보를 저장하며, 프로그램의 성능과 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1. 코드(Code) 영역 코드 영역은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위해 CPU가 직접 읽어서 실행할 수 있는 기계어 코드가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입니다. 이 영역에는 프로그램의 모든 함수와 명령어가 포함되어 있으며, 프로그램 실행 동안 변경되지 않습니다. 코드 영역은 읽기 전용이므로, 프로그램 실행 중에 이 영역의 내용을 변경하려고 시도하면 실행 시간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안상의 이유로도 코드 영역은 보호되며, 코드 주입과 같은 공격을 방지하는 데 중요..
-
컴파일(Compile)과 런타임(Runtime)이란?Computer Science/OS 2024. 4. 5. 10:04
1. 컴파일이란? 컴파일은 고수준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코드를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저수준 언어(보통 기계어나 바이트코드)로 변환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컴파일러는 이러한 변환 과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컴파일 과정은 일반적으로 여러 단계를 거칩니다. 소스 코드가 토큰으로 분해되고, 구문 분석을 통해 구문 트리가 생성되며, 최적화가 수행되고, 마지막으로 타겟 코드(기계어 코드)가 생성됩니다. 2. 런타임이란? 런타임은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더 구체적으로는, 프로그램의 코드가 컴퓨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고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런타임 동안, 프로그램은 메모리를 할당받고, 데이터를 처리하며, 사용자의 입력을 받고, 결과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런타임 환경은 프로그램이 실..
-
라이브락(Livelock)이란?Computer Science/OS 2024. 4. 4. 21:59
1. 라이브락이란? 라이브락은 프로세스가 '진행 중' 상태이지만 실제로는 어떠한 유용한 작업도 수행하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프로세스가 상호작용하는 방식 때문에 발생하며, 특정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반복적으로 상태를 변경하지만, 결국은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데드락과 달리, 라이브락 상태의 프로세스는 실행 중인 상태를 유지하지만, 유용한 일을 하지 못합니다. 2. 라이브락 예시코드 구현에 앞서 라이브락을 명확히 보여주는 코드 예시는 데드락보다 구현하기 어렵습니다. 라이브락의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두 개의 스레드(또는 고루틴)가 서로의 상태 변경을 지속적으로 감지하고, 그에 따라 자신의 상태를 변경하는 예를 들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양쪽 모두 진행을 멈추지 않고 ..
-
데드락(Deadlock)이란?Computer Science/OS 2024. 4. 3. 23:09
1. 데드락이란? 데드락이란, 두 개 이상의 프로세스나 스레드가 서로 상대방이 점유한 자원의 해제를 무한히 기다리게 되어, 아무런 진행도 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러한 상태가 발생하면, 해당 프로세스들은 영원히 진행되지 못하고 멈춰 있는 상태가 됩니다. 2. 데드락 예시코드 Java: public class DeadlockExample { private static final Object lock1 = new Object(); private static final Object lock2 = new Objec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hread thread1 = new Thread(() -> { synchronized (lock1) { Sys..
-
스레드 세이프(Thred Safe)란?Computer Science/OS 2024. 3. 30. 14:35
스레드 세이프(Thread-Safe)란 멀티스레딩 환경에서 여러 스레드가 동시에 같은 코드 영역에 접근하거나 데이터를 공유할 때, 올바른 실행 결과를 보장하는 코드의 속성을 의미합니다. 즉, 코드가 여러 스레드로부터 동시에 호출되더라도 각 스레드의 실행 경로가 서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안전하게 설계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데이터 무결성과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조건입니다. 스레드 세이프를 보장하기 위한 전략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가장 흔한 전략은 상호 배제(mutual exclusion), 동기화(synchronization) 기법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 외에도 불변성(immutability), 스레드 로컬 저장소(thread-local storage), 원자적(atomic) 연산 등을 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