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데드락(Deadlock)이란?
    Computer Science/OS 2024. 4. 3. 23:09
    반응형

    1. 데드락이란?

    🤔 데드락이 뭐길래?

    컴퓨터 과학에서 데드락(Deadlock) 은 둘 이상의 프로세스(또는 스레드)가 서로가 가진 자원을 기다리느라 영원히 실행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서로 양보하지 않고 기다리기만 하다 보니, 시스템 전체가 멈춰버리는 현상이죠.

     

    🍜 라면 비유로 이해해보자

    라면을 끓이는 두 사람이 있다고 해볼게요.

    • A는 냄비를 먼저 잡고, 그다음 가스레인지를 쓰려고 해요.
    • B는 가스레인지를 먼저 잡고, 그다음 냄비를 쓰려고 해요.

    그런데 A는 "B가 가스레인지를 놓을 때까지" 기다리고,
    B는 "A가 냄비를 놓을 때까지" 기다립니다.

    둘 다 서로의 행동을 기다리기만 하니, 결국 라면은 못 끓이고 시스템이 멈춰버린 거예요. 이게 바로 데드락입니다.

    2. 데드락 예시코드

    Java:

    public class DeadlockExample {
        private static final Object lock1 = new Object();
        private static final Object lock2 = new Objec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hread thread1 = new Thread(() -> {
                synchronized (lock1) {
                    System.out.println("Thread 1: Holding lock 1...");
    
                    try { Thread.sleep(10); } catch (InterruptedException e) {}
                    System.out.println("Thread 1: Waiting for lock 2...");
    
                    synchronized (lock2) {
                        System.out.println("Thread 1: Holding lock 1 & 2...");
                    }
                }
            });
    
            Thread thread2 = new Thread(() -> {
                synchronized (lock2) {
                    System.out.println("Thread 2: Holding lock 2...");
    
                    try { Thread.sleep(10); } catch (InterruptedException e) {}
                    System.out.println("Thread 2: Waiting for lock 1...");
    
                    synchronized (lock1) {
                        System.out.println("Thread 2: Holding lock 1 & 2...");
                    }
                }
            });
    
            thread1.start();
            thread2.start();
        }
    }

     

    Golang:

    package main
    
    import (
    	"fmt"
    	"sync"
    )
    
    func main() {
    	var lock1, lock2 sync.Mutex
    
    	go func() {
    		lock1.Lock()
    		fmt.Println("Goroutine 1: Holding lock 1")
    		lock2.Lock()
    		fmt.Println("Goroutine 1: Holding lock 1 and 2")
    		lock2.Unlock()
    		lock1.Unlock()
    	}()
    
    	go func() {
    		lock2.Lock()
    		fmt.Println("Goroutine 2: Holding lock 2")
    		lock1.Lock()
    		fmt.Println("Goroutine 2: Holding lock 2 and 1")
    		lock1.Unlock()
    		lock2.Unlock()
    	}()
    
    	select {}
    }

     

    이 예시에서는 두 스레드(또는 고루틴)가 서로 다른 순서로 락을 획득하려고 할 때 데드락이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3. 코프먼 조건(Coffman Conditions)

    데드락이 발생하기 위한 네 가지 필수 조건입니다:

    이 중 하나라도 깨면 데드락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 데드락 예방/회피/탐지/회복 전략

    4. 추가 팁

    • 자원 할당 그래프: 시스템의 자원 할당 상태를 그래프로 표현하여 데드락의 가능성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 데드락 예방 및 회피: 코프먼 조건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